본문 바로가기
자두 병충해 방제및 재배

자두 병충해 방제 시기및 약

by 개미농부 2010. 3. 6.

********** 붕소 엽면시비 물 500L에 붕소 50~80G 살포 **************

자두 약 방제: 모든 약은 예방이 중요합니다. 피해를 입고나면 늦고 치유하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닙니다. 저렴하면서 쓸만한 약입니다.

                   저두 초기에 고마우신 분께 배웁겁니다.^^

                   

                    그리고 이농약이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다만 경제적으로 부담이 많이 가신다기에 오랜 자두농사 짓는 분들이

                    약효가 뛰어나면서 값이 저렴한것이기에 추천드립니다.

                  

 

1.겨울 1월전 - 유황소독(석회 유황합제: 쿠무러스 - 황을 비중계로 잘 못만드는 초보자에게 좋다. 찬물에도 잘 녹는 장점이 있다.)

   3월초순에서 중순까지 봄에 또 한번 유황소독후에 좀띄워서 석회보르도액 살포하면 더 좋구요^^

 

2.수프로사이드 - 꽃봉우리 터지기 전에(2월 중순에서 3월5일 사이에:지역과 해마다 조금의 차이가 있다)  살포, 꽃에 진딧물, 깍지벌레

                        죽이는 약

 

3.스타트-(살충제-자벌레 특효, 타제품 주렁이는 안죽음 꼭 스타트로 살포 할것)

   톡신-(살균제- 가격이 저렴한 장점, 톡신이 없으면 지오판을 사서 스타트와 섞어살포 할것)

   스타트와 톡신 또는 지오판을 섞어서 꽃이 삼분의 이가 누렇게 되고 찌그러지면 치면 된다.

 

4.참큰자두(영양제)- 비대제라고 하기도 한다. 자두가 알이 조그만 할때 치는데 꼭 비가 오고 난뒤 땅에 수분이 있어야 한다. 안그러면

                            잎이 누렇게 되고 낙과가 심해진다. - 어떤 사람은 열매가 커가면서 3차례에 걸쳐 살포한다, 대석은5월 말쯤 살포 

                           

                            참고 :그런데 저는 효과가 거의 없는듯합니다. 효과가 있다면 호르몬제를 넣은 것인데 이것은 불법 이랍니다.

                            아무래도 해로우니까 법적으로 막고 있는것이지요.   

 

5.용마루(살균제), 코니드(살충제),스미사이딘(살충제) - 세가지를 섞어서 살포한다. 5월이 병충해가 가장 심해서 집중살포해야한다.

 

6.줌(살충제),지오판(살균제)- 이두가지를 섞어서 살포한다.  5월은 피해가 심해 집중살포한다.

 

7.충장군(살충제),지오판(살균제)- 이두가지를 섞어서 살포한다. 6월 중순경에 살포.

 

8.데식스, 포리옥신- 이두가지를 섞어서 살포한다. 6월 말에 살포.

 

9.D.D VP(디디 브이피), 데식스- 이두가지를 섞어서 살포한다. 추희는 특별한 병충해가 없는한 수확15일 전까지 반복살포한다.

                                             중간에 병해충이 나타나면 맞게 또 약을 살포하면 된다. - 박성용아저씨 지금 지오판과 이약을 쳐야합니다. 살균제 지오판을 지속적으로 쳐야합니다.

 

그리고 자두나무에 진이 나오는 2가지 현상은 하나는 생리적인 현상과 또 하나는 유리나방과 복숭아 나방 때문에 하얀 투명한 액이 제리처럼 나오다 약간 검은액으로 변합니다. 진단후 맞는 해결법으로 고쳐야 합니다.

          

 

자두나무 연중약제 살포방법

 

1. 주요 병해충의 발생생태 및 방제요령

가. 병해

(1) 주머니병

복숭아 잎오갈병과 병원균이 거의 비슷힌 종류의 병으로 과실이 콩알 크기부터 시작하여 5월 상중순까지 계속되는 병이다. 이병에 걸린 과실은 과실이 팽창하여 건전과의 2∼3배나 되며 표면에 흰가루가 생기고 내부는 핵층이 없어지거나 적어져서 공동이 된다. 피해과는 흑갈색으로 변하여 낙과된다. 방제는 월동기 방제로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철저히 살포하여 수피에 붙어 있는 병원균을 살균하고 피해과는 나타나는 대로 조기에 제거하여야 한다.

(2) 세균성구멍병

이병 역시 복숭아세균성구멍병과 같은 병원균으로 5월 상순 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6∼7월에 가장 심하다. 피해부위는 잎, 과실, 가지 등에 피해를 주나 주로 잎 끝이나 주위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피해가 심하면 조기낙엽을 일으킨다. 과실에서는 지금이 1∼2㎜의 자흑색으로 반점이 생기고 새가지에는 균열이 생겨 점액질이 분비되며 가지 병반이 제1차 전염원이 된다. 이 병원균은 비바람에 의해 전파됨으로 과원 주변에 방풍림을 조성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방제법으로는 개화 직전이나 낙화 직후에 4-8식 또는 6-12식 보르도액을 살포하고 그후 7월 까지 6-12식 아연석회유를 살포하여야 한다. 농용신 수화제도 효과는 있으나 약효의 지속성이 짧고 연용시 내성이 발생하므로 주위하여야하며 1년에 1∼2회로 사용횟수를 제한 하는 것이 좋다. 이병은 약제 방제만으로 방제하기 어려우므로 질소질 비료의 과용금지, 방풍림 설치, 피해가지의 제거 등으로 종합적인 방제 대책이 요구된다.

(3) 잿빛무늬병

병든 꽃이나 병든 과실은 중요한 전염원이 되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제거하도록 힘쓴다. 이 병이 심하면 가지가 죽는 경우도 있는데 죽은 가지는 수시로 제거하여야 한다. 도장지가 많이 발생하면 통풍이 나빠지고 약제처리 효과도 떨어지므로 통기 통풍을 좋게 해주어야 한다.

이 병의 방제 적기는 수확기전 약 20일간이므로 이 기간에 적용 약제를 7∼10일 간격으로 2∼3회 정도 과실에 약제가 잘 묻도록 충분한 량을 살포한다. 수확기 부근에는 감염되기 쉬우므로 살포간격을 잘 지키고, 비가 오기 직전에 살포하면 효과가 높다. 동일한 약제를 계속 사용하면 내성균의 출현으로 약효가 저하되므로 살균 기작이 다른 약제로 바꿔가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제약제로는 프로파수화제(1,000배), 빈졸수화제(1,000배)등이 있다.

나. 해충

(1) 월동기 방제

자두나무에서 월동하는 해충은 진딧물류(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가루진딧물), 응애류, 깍지벌레류가 있다. 이들은 대부분 꽃눈 및 잎눈의 밑부분이나 줄기에서 월동하므로 기계유유제 살포가 가장 좋은 방제방법이다. 기계유유제는 보통 2월하순에서 3월상순 살포하며 줄기에 약액이 골고루 묻도록 살포한다. 회석농도는 물 20ℓ에 기계유유제 800-1,000㎖를 썩어서 살포한다.

(2) 생육기 방제

(가) 응애류

자두나무를 가해하는 응애류는 점박이응애와 차응애(간자와응애)로 보통 7월에서 8월 다발생하고 고온건조할 때 더욱 발생이 심하다. 응애류는 대부분 잎의 뒷면에 서식하면서 흡즙하므로 약제살포시 약액이 잎의 뒷면에 묻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액을 진하게 혼용하여 살포하는 것보다는 묽은 농도라도 충분히 살포하는 것이 좋다.

점박응애는 5월중순이면 발생을 시작하므로 매년 피해를 입고 있는 과원에서는 5월하순 이전에 전문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좋다. 약제살포시 주의점은 이들 해충이 쉽게 약제저항성을 펂들하므로 동일약제를 연용하지 말고 다른 계통의 약제를 교호살포해야 한다. 또한 동일약제는 년 1회 이상 살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나) 진딧물류

주로 발생되는 진딧물류는 복숭아혹진딧물과 복숭아가루진딧물이다. 복숭아혹진딧물은 신초에 심하게 발생하며 피해를 심하게 받은 신초는 뒤틀리듯 꼬아진다. 반면 복숭아가루진딧물은 엽에서 발생하며 흰분비물과 감로를 분비하므로 엽이 심하게 오염된다.

복숭아혹진딧물의 경우는 6월이후에는 다른 식물로 이동하여 더 이상 자두나무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5월경에 1회 약제방제로 방제하도록 한다. 복숭아가루진딧물은 7월경까지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발생상황를 보아서 약제방제 한다.

(다) 깍지벌레류

자두에 발생하는 깍지벌레류는 뽕나무깍지벌레, 공깍지벌레, 주머니깍지버레 등이 있으나 뽕나무깍지벌레가 주로 다발생되고 있다.

뽕나무깍지벌레는 잎, 가지 또는 과실에도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고, 보통은 가지에 무리지어 발생하여 가지를 말라죽게 하는 경우도 있다. 년 3회 발생하고 성숙한 암컷으로 가지에서 월동한다. 월동성충은 5월경 깍지 밑에 40-200개의 알을 낳는다. 5월 상순부터 부화약충이 출현하여 정착하면 밀랍을 분비하여 깍지를 만들기 시작하며 3회 탈피하여 성충이 된다. 1회성충은 6월하순, 2회성충은 8월중순, 3회는 10월상순경 발생한다. 갓 부화약충은 활발히 기어다니며 숙주식물로 분산하지만, 1회 탈피 후에는 고착생활을 한다.

수컷 성컷은 날개가 있으며 비상력이 약하고 극히 단명해서 24시간을 넘기지 못하고 죽는다. 반면 암컷은 잎이나 가지에 고착해서 즙액을 빨아 먹으며 수명도 길다. 동계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하거나 알에서 부화해 나오는 시기 및 약충의 활동기에 유기인계 계통의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깍지를 형성한 뒤에는 방제효과 극히 떨어진다.

(라) 복숭아유리나방

유충이 수간부 조피 밑을 가해하여 껍질과 목질부 사이(형성층)를 먹고 다닌다. 가해부위는 적갈색의 굵은 배설물과 함께 수액이 흘러나와 겉으로 쉽게 눈에 띤다. 어린 유충이 가해시는 수액분비가 적고 가는 똥이 배출되므로 나방류 피해로 오인하기 쉽다.

년 1회 발생하고 유충으로 월동하나 월동유충은 어린유충에서 노숙유충까지 다양하다. 월동태가 노숙유충일 경우 6월경 성충으로 발생하고, 어린유충일 경우는 8월하순경 발생하므로 년 2회 발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월동유충은 보통 3월상순경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가해하며, 이때 어린유충은 껍질 바로 밑에 있기 때문에 방제하기 쉬우나, 성장할 수록 껍질밑 깊숙히 들어가기 때문에 방제가 곤란하다.

월동유충이 활동하는 시기인 3월중하순에 침투성 살충제를 굵은 가지와 주지를 중심으로 흘러 내리도록 충분히 살포한다. 생육기에는 성충발생기에 유기인계나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를 살포하고 특히 복숭아 수확이 끝나는 8월 이후 약제살포로 난 및 유충을 구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벌레똥이 나오는 곳을 찾아서 철사나 칼로 유충을 잡아준다. 성충이 산란하지 못하도록 접촉성 살충제 등을 혼용한 백도제(또는 수성페인트)를 가해부 줄기에 발라주어 방제하는 경우도 있다.

(마) 복숭아심식나방

유충이 과실내부로 뚫고 들어가 종횡무진으로 먹고 다니므로 요철의 기형과가 된다. 부화유충의 식입 구멍은 바늘구멍 크기로 보이고 그곳에서 즙액이 나와 말라 붙어 흰자루 같이 보인다. 노숙유충이 뚫고 나온자리는 송곳으로 뚫은 듯이 보이고 배설물을 배출하지 않는다.

대부분 년 2회 발생하고 노숙유충으로 땅속 2-4cm에서 편평한 원형의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5-7월 겨울고치에서 나온 유충은 지표면 가까이서 방추형 여름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제 1회 성충은 6월 상순에서 8월 상순사이에 발생하며, 2회 성충은 7월 하순-9월상순에 발생한다.

첫 발생이 6월 상순경이므로 산란 후 난이 부화하여 과실침입 이전인 6월 중순경부터 10일 간격으로 2-3회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2화기 때는 8월 중순부터 10일 간격으로 1-2회 약제살포가 좋다. 전년에 많은 피해를 받은 과원에서는 5월 하순경 토양살충제를 살포한다.

(바)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의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등이다. 4-5월 1화기 성충이 발생하여 복숭아나무의 신초, 잎 뒷면에 알을 낳으며 유충이 신초의 선단부에 식입하므로 신초꺽임증상을 가져온다. 피해받은 신초는 선단부가 꺽이어 위조되고 진과 똥을 배출하므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어린과실의 경우는 보통 꽃받침 부분으로 침입하여 과심부를 식해하고 다 큰과실에는 과경부근에서 식입하여 과피 바로 아래의 과육을 식해하는 경우가 많고 겉에 가는 똥을 배출하는 점에서 다른 심식충와 구별 할 수 있다.

년 4-5회 발생하며 노숙유충으로 조피틈이나 남아 있는 봉지 등에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1회 성충은 4월 중순-5월에, 2회는 6월 중하순, 제 3회는 7월 하순-8월 상순, 4회는 8월 하순-9월 상순에 발생하고, 일부는 9월 중순경에 5회 성충이 나타나나 7월 이후에는 세대가 중복되어 구분이 곤란하다. 1,2화기는 주로 복숭아, 자두, 살구 등의 신초나 과실에 발생하며 3-4회 성충이 사과와 배의 과실에 산란하며 가해하는 경우가 많다.

과실에 산란하는 시기인 6월 이후에 2-3회 전문약제를 살포해야 하나, 복숭아심식나방을 대상으로 방제한 경우 동시 방제가 가능하다.

2. 시기별 발생병해충 및 방제시기

순별

살포량

대상 병해

대상해충

3월

상순

300

월동 병해충 (주머니병)

월동해충(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4월

상순

300

주머니병

진딧물류, 유리나방

중순




5월

상순

350

세균성구멍병, 주머니병

진딧물류, 잎말이나방

중순




하순

350

세균성구멍병, 주머니병

깍지벌레, 응애류, 진딧물류

6월

상순




중순

400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하순




7월

상순

500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굴나방류, 응애류

중순




하순

500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심식나방, 순나방, 응애류

8월

상순




중순

500

잿빛곰팡이병

유리나방, 심식나방, 순나방

하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