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량원소는 주로 미량요소비료로 공정규격이 설정되어 미량요소복합비료, 붕산, 붕사, 황산아연 등 4종으로 구분되어 제품화되어 있습니다
※ 본 사용방법은 유통중인 생산업체별 제품의 라벨을 수거하여 검토작성한 자료이며, 이외에도 다수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므로 사용시에는 제조회사별 사용설명서(라벨)를 참고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미량요소복합비료 >>
□ 특징
○ 철, 망간, 구리, 몰리브덴, 아연, 붕소 등 필수미량원소 가운데 두가지 이상을 수용성으로 보증한 것을 미량요소복합비료라고 합니다
○ 미량요소는 작물의 필수원소로서 작물에 미량으로 필요하지만 없어서는 안되는 양분입니다
○ 여러 가지 체구성물질의 구성요소로 작물의 생육에 도움을 줍니다
○ 여러 가지 효소작용의 활성화에 도움을 줍니다
※ 자료 : 생산업체별 유통 제품의 라벨 참조
□ 사용시 주의사항(공통)
○ 알카리성 비료나 농약, 살균제와 혼용하지 마십시오
○ 과다 사용시는 비해가 날 수 있으니 사용량을 반드시 지켜주시고 중복살포하지 마십시오
○ 한번 사용하고 남은 제품은 가급적 빨리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 밀봉하여 보관하십시오
○ 보관중 제품의 층분리가 생길 수 있으니 사용전에 잘 흔들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수세가 약한 작물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지나친 고온이나 저온시기에 살포하면 약해 등 부작용의 우려가 있으므로 살포를 피하십시오
○ 토성과 식물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작물별로 사용법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조회사의 사용설명서를 꼭 읽으신 후 사용하십시오
○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등록된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방법
제조사 |
삼원농산(주) |
코스모바이오 케미칼 |
(주)유일 |
(주)유일 |
(주)유일 |
주성분 작물류별 |
수용성아연 0.05% 수용성붕소 0.05% |
수용성망간 0.1% 수용성붕소 0.05% |
수용성붕소 0.1% 수용성철 0.1% |
수용성붕소 0.09% 수용성구리 0.06% |
수용성붕소 0.08% 수용성아연 0.05% |
과수류 |
|
|
|
500~800배 (물20ℓ당 20~40g) |
1,100배 (물500ℓ당 450㎖) |
과채류 |
|
|
|
500~800배 (물20ℓ당 25g) |
1,000~2,000배 (물20ℓ당 10~20㏄) |
잔디 |
|
|
|
500~1,000배 (물20ℓ당 20~40g) |
|
특용작물 |
|
|
|
" |
|
수도작 |
|
1,300~1,500배 (물20ℓ당 13~15g) |
|
" |
2,000배 (물20ℓ당 10㏄) |
구근류 |
|
|
|
|
|
엽면시비 |
|
|
800~1,000배 (물20ℓ당 20~25㏄) |
|
|
사용방법 |
2,000배 (물 500ℓ당 250㎖) |
|
|
|
|
주의사항 |
|
사용전 잘 저어서 사용할 것 동제와 알카리성을 띤 농약 영양제와 혼용하지 말 것
|
수세가 약한 작물에는 처리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고농도 처리시에 약해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할 것 |
농도장애를 받기 쉬운 작물(인삼 등), 어린묘에 살포할 때는 기준농도보다 묽게 희석 살포할 것
|
포름알데히드 제품과 혼용하지 말것 희석전에 잘 흔들어 사용할것
|
제조사 |
한맥비료(주) |
부광농산 |
(주)에이스 |
식물농장산업 |
(주)대유 |
주성분 작물류별 |
수용성붕소 0.5% 수용성아연 0.5% 수용성망간 0.5% 수용성철 0.1% |
수용성철 0.1% 수용성아연 0.05% |
수용성붕소 0.06% 수용성철 0.1% |
수용성망간 0.12% 수용성붕소 0.06% |
수용성붕소 6% 수용성아연 5% 수용성철 1.2% 수용성망간 0.3% 수용성동 0.3% 수용성몰리브덴 0.05% |
과수류 |
|
|
400~800배 (물20ℓ당 25~50㏄) |
|
800~1,000배 (물20ℓ당 20~25g) |
과채류 |
|
|
400~1,000 배(물20ℓ당 20~50㏄) |
|
1,000~1,500배 (물20ℓ당 13~20g) |
구근류 |
|
|
|
|
1,000~1,500배 (물20ℓ당 13~20g) |
특용작물 |
|
|
400~800배 (물20ℓ당 25~50㏄) |
|
|
수도작 |
|
|
|
|
1,000~1,500배 (물20ℓ당 13~20g) |
엽채류 |
|
|
600~1,000배 (물20ℓ당 20~33㏄) |
|
|
엽면시비 |
1,000배 (물500ℓ당 500g) |
|
|
|
|
관주 |
300평당 1㎏정도 |
|
|
|
|
사용방법 |
|
800~1,000배 (물20ℓ당 20~25㏄) |
|
400~800배 (물20ℓ당 25~50㏄) |
|
주의사항 |
사용량이나 농도는 작물의 생육상태에 따라 조절할 것 알카리성 농약, 석회보르도액, 네오아소진, 아크리 짓, 석회유황합제 등과 혼용하지말 것 |
알카리성 농약과 혼용을 금하고 농약혼용시 바로 살포할 것 희석배수를 반드시 지킬 것 |
알카리농약과 혼용을 피하고 액비로 혼합사용시는 사용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할 것 |
비닐하우스 고온기, 가뭄ㆍ이상기후시는 1,000배 이상으로 사용할 것 알카리성 농약, 비나인, 네오아소진 등과는 혼용할 수 없음 |
사용량이나 농도는 작물의 생육에 따라 조절해야 하며 비닐하우스 등에서는 1,500~2,000배액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 |
제조사 |
(주)이에스티 |
푸른산업(주) |
(주)코레곤 농자재 |
영광농자재 |
주성분
작물류별 |
수용성붕소 0.05% 수용성몰리브덴 0.0005% |
수용성붕소 0.05% 수용성철 0.1% |
수용성철 3.6% 수용성몰리브덴 0.0006% |
수용성구리 1.8% 수용성망간 2% 수용성아연 1.6% |
과수류 |
|
|
|
800~1,000배 (물80~100ℓ당 100㏄) |
과채류,엽채류 |
|
|
600~800배 (물600~800ℓ당 1ℓ)200평 관수 |
" |
수도작 |
|
500배 (물500ℓ당 1ℓ) |
|
|
엽면시비 |
2,400~5,000배 (물240~500ℓ당 100㏄) |
|
|
|
관주 |
1,500~300배 (물150~300ℓ당 100㏄) |
|
|
|
사용방법 |
|
|
|
|
주의사항 |
침투력이 강한 농약과 혼용시는 희석배수를 적정 희석배수의 2배 이상으로 할 것 사용량을 반드시 지키고 과용은 금할 것 |
알카리농약과는 혼용을 금할것 |
알카리성 농약과 절대 혼용을 금할것 본제품을 희석했을 때는 2시간 이내에 사용하시기 바람 |
타 제재와 혼용시 1,000배 이상으로 묽게 희석하여 살포할 것 지나친 고온이나 저온시기는 부작용 우려가 있으므로 살포를 피할 것 |
<< 붕산비료 >>
□ 특징
○ 붕산비료는 작물의 필수미량원소인 붕소질 비료입니다
○ 붕소결핍으로 발생하는 뿌리의 발육부진, 생육장애, 결실장애 등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 붕소비료는 결핍과 과잉에 의한 장애가 있으며, 붕소의 결핍은 수확물의 품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석회의 과잉은 토양의 pH를 올리며 이는 붕소의 흡수를 저해하여 붕소결핍을 유발시킵니다
○ 산성토양에 석회를 시비하여 중화한 토양, 부식질이 적은 토양 및 건조한 토양에 살포하면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품질을 좋게 할 수 있습니다
○ 아스파라거스, 사탕무, 셀러리, 해바라기, 사과 등이 비교적 붕소를 많이 요구하는 작물입니다
○ 붕소가 결핍되면 순무, 무, 사탕무의 뿌리속이 썩거나 껍질이 거칠어지고, 셀러리의 줄기가 갈라지고, 담배 줄기의 속이 변하며, 사과와 토마토 등의 과실이 오그라들거나, 코르크화 증세가 나타납니다
※ 자료 : 생산업체별 유통 제품의 라벨 참조
□ 사용시 주의사항(공통)
○ 토양 시비시 적당량의 모래와 혼합하여 토양 전면에 고루 시비하여야 합니다
○ 시비량이 과다하면 토양에 집적되어 과잉에 의한 작물에 피해(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량의 물에 먼저 녹인 후 많은 물에 넣어 잘 희석시킵니다
○ 호로과 식물(오이, 참외, 수박, 메론 등)은 붕소에 민감하니 소정량 이상은 사용하지 마십시오
○ 한번 사용하고 남은 제품은 가급적 빨리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 밀봉하여 보관하십시오
○ 토성과 식물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과다 사용시는 비해가 날 수 있으니 사용량을 꼭 지켜주시고 중복살포하지 마십시오
○ 작물별로 사용법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조회사의 사용설명서를 꼭 읽으신 후 사용하십시오
○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등록된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방법
<< 붕사비료 >>
□ 특징
○ 붕사비료는 작물의 필수미량원소인 붕소질 비료입니다
○ 붕소결핍으로 발생하는 뿌리의 발육부진, 생육장애, 결실장애 등에 도움을 줍니다
○ 붕소비료는 결핍과 과잉에 의한 장애가 있으며, 붕소의 결핍은 수확물의 품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석회의 과잉은 토양의 pH를 올리며 이는 붕소의 흡수를 저해하여 붕소결핍을 유발시킵니다
○ 산성토양에 석회를 시비하여 중화한 토양, 부식질이 적은 토양 및 건조한 토양에 살포하면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좋은 품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 아스파라거스, 사탕무, 셀러리, 해바라기, 사과 등이 비교적 붕소를 많이 요구하는 작물입니다
※ 자료 : 생산업체별 유통 제품의 라벨 참조
□ 사용시 주의사항(공통)
○ 토양 시비시 적당량의 모래와 혼합하여 토양 전면에 고루 시비하십시오
○ 시비량이 과다하면 토양에 집적되어 작물에 피해(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량의 물에 먼저 녹인 후 많은 물에 넣어 잘 희석시킵니다
○ 호로과 식물(오이, 참외, 수박, 메론 등)은 붕소에 민감하니 소정량 이상은 사용하지 마십시오
○ 한번 사용하고 남은 제품은 가급적 빨리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 밀봉하여 보관하십시오
○ 토성과 식물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과다 사용시는 비해가 날 수 있으니 사용량을 꼭 지켜주시고 중복살포하지 마십시오
○ 작물별 사용법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조회사의 사용설명서를 꼭 읽으신 후 사용하십시오
○ 작물의 연약하거나 어릴 때에는 시비량을 조절하십시오
○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등록된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붕소의 보통 시용량은 작물의 종류와 토양에 따라 조절해야 됩니다
사용방법
<< 황산아연비료 >>
□ 특징
○ 황산아연은 작물의 필수미량원소인 아연(Zn)의 공급원 비료입니다
○ 식물의 아연 요구량은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매우적은 편으로 체내 함량은 20~100ppm 사이이며, 감귤류와 토마토에서 다소 높은 편입니다
○ 주로 Zn2+로 흡수되고 낮은 pH 일 때 더 흡수되며, 칼슘, 망간, 구리, 철 등과 길항관계가 있습니다
○ 아연의 중요 생리작용은 식물생장 조절물질인 옥신(auxin)류의 생성에 관련되고 그 외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에도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아연이 부족하면 과수류, 토마토, 옥수수 등에서 경엽의 신장이 억제되고 키가 자라지 못하는 로제트현상 또는 소엽증이 나타나며, 체내이동은 좋지 않은 편이므로 결핍되면 먼저 늙은 잎에서 시작하여 점차 새잎 부분에 증세가 나타납니다
○ 황산아연은 아연부족으로 벼의 새잎이 자라지 못하고 키가 자라지 못하는 로제트현상에 효과가 있으며, 간척지나 저습답의 아연결핍지역에서는 효과가 있습니다
※ 자료 : 생산업체별 유통 제품의 라벨 및 문헌 참조
□ 사용시 주의사항(공통)
○ 보관시에는 그늘 및 습기가 없는곳에 보관하여야 하며 내용물이 굳었을 때에도 효과는 아무 지장이 없습니다
○ 엽면살포시 생석회 및 소석회를 아연량과 동일한 량을 첨가하면 좋으며, 농약과 혼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과다 사용시는 비해가 날 수 있으니 사용량을 꼭 지켜주시고 중복살포하지 마십시오
○ 작물별 사용법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조회사의 사용설명서를 꼭 읽으신 후 사용하십시오
○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등록된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사용방법
○ 삼경화학, 건도산업 제품의 경우 기비로 사용할 경우 10a 당 2~3㎏을 시비하며, 엽면살포시는 물 2ℓ당 50~90g 정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친환경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문 (0) | 2015.10.06 |
---|---|
헤어리베치 (0) | 2014.05.04 |
[스크랩] 현미식초칼슘 (0) | 2010.01.16 |
[스크랩] 토착 미생물 자가 배양 하기 (0) | 2010.01.16 |
[스크랩] 난각칼슘 만들어 사용하기 (0) | 2010.01.16 |